• 인간혁명

    인간혁명

    함석헌 선집 3권. 동서고금의 사상을 넘나들며 사람의 도리와 생명의 본질을 설파한 함석헌 선생의 글 중 대표적인 글 94편과 시 11편을 모았다. 함석헌학회와 한길사가 선생 탄생 115주년, 한길사 창립 40주년을 맞아 공동으로 기획했다. 선생의 사상이 농축된 글들을 선정해 분야별로 정리했으므로 통독하면 함석헌사상의 전모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각 권에 권별 해제와 선집을 아우르는 전체 해제를 넣어…

  • 들사람 얼

    들사람 얼

    함석헌선집’은 동서고금의 사상을 넘나들며 사람의 도리와 생명의 본질을 설파한 함석헌 선생의 글 중 대표적인 글 94편과 시 11편을 모았다. 함석헌학회와 한길사가 선생 탄생 115주년, 한길사 창립 40주년을 맞아 공동으로 기획했다. 선생의 사상이 농축된 글들을 선정해 분야별로 정리했으므로 통독하면 함석헌사상의 전모를 파악할 수 있다. 제2권 은 민중과 민족 그리고 통일 문제를 다룬 글을 모았다. 세계화 시대에…

  • 씨알의 소리

    씨알의 소리

    함석헌선집’은 동서고금의 사상을 넘나들며 사람의 도리와 생명의 본질을 설파한 함석헌 선생의 글 중 대표적인 글 94편과 시 11편을 모았다. 함석헌학회와 한길사가 선생 탄생 115주년, 한길사 창립 40주년을 맞아 공동으로 기획했다. 선생의 사상이 농축된 글들을 선정해 분야별로 정리했으므로 통독하면 함석헌사상의 전모를 파악할 수 있다. 제1권 는 기독교와 동양종교 그리고 역사에 대한 글을 모았다. 기독교 정신의 참뜻은…

  • 명등도고록

    명등도고록

    한길그레이트북스 146권. 은 동양의 니체라 불리는 탁오 이지의 말년작이다. 동시대 지식인들과 대화하며 과 을 해설해나가는 형식이다. ‘발분저서’의 심경을 담아 당시 사회상을 통렬히 비판한 그의 또 다른 책 처럼 도 유가 사상에 대해 날을 세운다. 하지만 유가 사상 자체를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유가적 가치의 깊이를 더함으로써 시공간을 초월한 보편성을 획득했다. 즉 경세가로서 세상을 올바로 ‘경영’하는…

  • 중용

    중용

  • 대학

    대학

  • 수사고신여록

    수사고신여록

    수수와 사수라는 강 언저리에 학당을 열었던 공자의 사적에 대한 사람들의 믿음을 비교, 검토한 기록이다. 기준은 당연히 역사적 사실이며, 대상은 사람들 사이에 떠도는 믿음의 말들이다. 저자는 신화를 배제하고 납득할 만한 상식에 따라 인간 공자를 밝히려 했다. 성인 공자의 신화를 벗기고, 인간 공자에 대한 합리적 이해를 도우려는 책. 현대어로 씌어진 인간 공자에 관한 엄정한 논증을 읽다보면 인간…

  • 순자 2

    순자 2

    “전국(戰國)사상을 종합적으로 정리한 ‘동양철학의 아리스토텔레스’, 순자” ‘성악설’로 잘 알려진 조(趙)나라 사람 순황(荀況,)의 사상과 학설을 담은 저술서이다. 순자는 공맹사상(孔孟思想)을 가다듬고 체계화했으며, 이해하기 쉽고 응집력 있는 유학사상의 방향을 제시했다. 또한 유가 철학자 가운데 최초로 스승의 말.대화를 기록한 제자들의 글뿐만 아니라, 직접 쓴 체계적인 논문을 통해 자신의 사상을 표현했다. 전체 32장인 는 대부분 그 자신이 쓴 것으로 전해지는데,…

  • 순자 1

    순자 1

    “전국(戰國)사상을 종합적으로 정리한 ‘동양철학의 아리스토텔레스’, 순자” ‘성악설’로 잘 알려진 조(趙)나라 사람 순황(荀況,)의 사상과 학설을 담은 저술서이다. 순자는 공맹사상(孔孟思想)을 가다듬고 체계화했으며, 이해하기 쉽고 응집력 있는 유학사상의 방향을 제시했다. 또한 유가 철학자 가운데 최초로 스승의 말.대화를 기록한 제자들의 글뿐만 아니라, 직접 쓴 체계적인 논문을 통해 자신의 사상을 표현했다. 전체 32장인 는 대부분 그 자신이 쓴 것으로 전해지는데,…

  • 남명집

    남명집

    남명 조식(南冥 曺植, 1501~1572)의 탄생 500주년을 맞이하여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에서 펴낸 완역본. 10여 종의의 판본 가운데서 가장 완선(完善)된 판본을 선택해 번역했던 1995년 판본을 다시 검토해 일반인들도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새롭게 번역했다.

  • 도덕경

    도덕경

    무위無爲와 자연自然을 주창한 동양 철학의 정수. 『도덕경』은 『주역』 그리고 『논어』와 함께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의 사상 및 철학 체계에 가장 심대한 영향을 끼친 책 중 한 권이다. 도가의 시조인 노자의 어록으로 알려진 『도덕경』은 비교적 짧은 5,000여 자의 글로 구성되어 있지만 그 안에는 정치, 철학, 병법, 과학, 그리고 양생지도養生之道에 대한 논술까지 포함되어 있어 예로부터 수많은 지식인들의 애독서이자…

  • 논어

    논어

    『논어』는 공자와 그 제자들의 언행이 담긴 어록으로 내용은 공자의 말과 행동, 공자와 제자 사이의 대화, 공자와 당시 사람들의 대화, 제자들 간의 대화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가 마땅히 갖춰야 할 수양은 어떤 것이며, 학문하는 자세와 가족과의 관계는 어떠해야 하며, 사회와 국가의 일에 어떠한 태도와 시각을 가져야 하는가를 총망라하고 있다. 중국 전문가 소준섭 박사의 혁신적이고 정교한 해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