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표준 국어 문법 개발

Buy on Amazon

Description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담화론 각 영역별로 전체 상세범주화 체계중에서 30%에 해당하는 영역을 실제 기술하였다. 먼저 각 영역별로 상세범주화 체계를 점검하고 확정하여 문법 내용 기술 대상을 선정하고 1단계에서 제시한 표준 국어 문법의 기술 모형을 점검 및 수정하여 문법 내용을 기술하였다.

Ⅰ. 연구 개요 1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1.1. 연구의 목적 1
1.2. 연구의 필요성 1
1.2.1. 표준 국어 문법 개발의 필요성 1
1.2.2. 표준 국어 문법 개발 연구의 필요성 2
2. 연구의 범위 및 전제 조건 3
2.1. 연구의 범위 3
2.2. 연구의 전제 조건 3
3. 연구진의 구성 및 특징 4
3.1. 연구진의 구성 4
3.2. 연구진의 특징 10
4. 연구의 장점 및 기대 효과 11
4.1. 연구의 장점 11
4.2. 연구의 기대 효과 13
5. 연구 수행 전략 및 계획 14
5.1. 연구 수행 전략 14
5.2. 연구 수행 계획 15
Ⅱ. 연구 추진 방법 및 절차 17
1. 국어 문법 표준화 방향 17
1.1. 표준 국어 문법의 개념: 참조 문법, 기반 문법 17
1.2. 표준 국어 문법의 성격 18
1.3. 표준 국어 문법 기술의 원칙 20
1.4. 표준 국어 문법 기술의 수준 23
1.5. 표준 국어 문법 개발 최종 결과물의 활용 방안 24
2. 문법 지식 세부 항목의 상세범주화 및 위계화 26
3. 문법 기술의 쟁점 상세 분석 및 기술 방안 도출 34
4. 표준적인 문법 용어 권장안 마련 40
5. 영역별 문법 내용 기술 42
6. 웹서비스를 고려한 표준 국어 문법 기술안 설계 45
7. 학계 의견 수렴 . 자문회의, 워크숍 개최 46
Ⅲ. 연구 추진 결과 47
1. 문법 지식 세부 항목의 상세범주화 및 위계화 점검 47
1.1. 상세범주화 체계 정비 기준 마련 47
1.2. 상세범주화 체계의 거시적 점검 47
1.3. 상세범주화 체계의 미시적 점검 48
1.4. 상세범주화 체계 제시 50
2. 문법 기술의 쟁점 상세 분석 및 기술 방안 55
2.1. 쟁점 항목 점검 및 확정 55
2.2. 추가 분석 자료 수집 및 분석 58
2.3. 쟁점 항목에 대한 기술 방안 도출 59
2.4. 자문회의, 워크숍을 통한 기술 방안 수정 보완 후 확정 60
3. 표준적인 문법 용어 권장안 61
3.1. 문법 용어 표준화 원칙 수립 61
3.2. 표준화 작업 대상 문법 용어 선정 및 비교 분석 61
3.3. 문법 용어 표준화 안 제시 65
3.4. 자문 내용 반영 및 표준화 안 확정 72
3.5. 문법 용어 데이터베이스 구축 72
4. 영역별 문법 내용 기술 73
4.1. 각 영역별 문법 내용 기술 대상 선정 73
4.2. 기술 모형 점검 및 수정 76
4.3. 표준 국어 문법 내용 기술 79
4.3.1. 음운론 80
ⅰ. 말소리 80
1. 말소리의 생성 80
1.1. 말소리의 산출 과정 80
1.2. 발음 기관 80
2. 음성과 음운 81
2.1. 음성 81
2.2. 음운 82
2.2.1. 음운과 변이음 82
2.2.2. 음운의 종류 83
ⅱ. 자음 85
1. 자음의 개념 85
2. 자음 목록 85
3. 자음의 분류 기준 86
4. 자음 체계 87
ⅲ. 모음 91
1. 모음의 개념 91
2. 단모음 91
2.1. 단모음의 목록 92
2.2. 단모음의 분류 기준 92
2.3. 단모음 체계 94
3. 반모음 95
3.1. 반모음의 개념 95
3.2. 반모음 목록 96
4. 이중 모음 98
4.1. 이중 모음의 개념 98
4.2. 이중 모음 목록 99
4.3. 이중 모음의 분류 100
4.4. 이중 모음 체계 101
ⅳ. 음장 105
1. 음장의 정의 105
2. 음장의 변별력 105
3. 장음의 실현 위치 105
4. 용언 어간의 음장 변동 106
5. 보상적 장음화 107
6. 파생어와 합성어의 음장 변화 108
7. 표현적 장음 108
ⅴ. 휴지 111
1. 휴지의 정의 111
2. 휴지의 생리적 기능 111
3. 휴지의 음성학적 음운론적 역할 112
4. 휴지와 의미 통사 정보 112
ⅵ. 억양 116
1. 억양의 정의 116
2. 억양의 일반적 유형 116
3. 문말 억양 117
ⅶ. 음절 119
1. 음절의 정의 119
2. 음절의 구조와 유형 119
3. 음절의 성립 120
4. 음절 실현에 대한 제약 121
4.3.2. 형태론 124
ⅰ. 형태소 124
1. 형태소의 정의 124
2. 이형태와 기본형 124
2.1. 이형태와 교체 124
2.2. 이형태 교체의 양상 125
2.2.1. 음운적 조건에 의한 교체와 형태적 조건에 의한 교체 125
2.2.2. 자동적 교체와 비자동적 교체 126
2.2.3. 규칙적 교체와 불규칙적 교체 126
2.3. 교체와 기본형 127
3. 형태소의 하위 유형 128
3.1. 자립 형태소와 의존 형태소 128
3.2. 실질 형태소와 형식 형태소 130
4. 형태소 분석 130
4.1. 형태소 분석의 개념 130
4.2. 형태소 분석의 기준 131
4.3. 형태소 분석의 실제 132
4.4. 형태소 분석에서 나타나는 어려운 문제들 134
ⅱ. 단어 143
1. 단어의 정의 143
1.1. 단어의 일반적 정의 143
1.2. 조사와 어미의 단어 인정 여부 144
1.3. 단어의 여러 측면들 145
2. 단어의 구조 146
2.1. 단어의 구성 요소와 단어의 구조 146
2.2. 단어 구조의 분석: 직접 구성 요소 분석 148
3. 단어 구성 요소의 구분 149
3.1. 어근과 접사, 어간과 어미 149
3.2. 어근의 구분 151
3.3. 접사의 구분 151
4. 단어의 유형 154
4.3.3. 통사론 161
ⅰ. 문장을 구성하는 문법 단위 161
1. 문장의 구성단위 161
2. 단어(單語, words) 163
3. 구(句, phrase) 163
4. 절(節, clause) 166
5. 문장(文章, sentence) 167
5.1. 문장 성립의 필요충분조건은 ‘외적 독립’ 168
5.2. ‘외적 독립성’의 확인과 문장의 규정 168
5.3. 통사론의 대상로서의 ‘문장’의 범위 169

Additional information

Language

ISBN

Author

Publisher

Publication Date

2015-08-30

Pages

288

Format

Reviews

There are no reviews yet.

Be the first to review “2014 표준 국어 문법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