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학습법

허무를 이겨 내는 메타 학습

[좋은땅]인간의 학습법 : 허무를 이겨 내는 메타 학습, 좋은땅, 혜온

Author

SKU: 9791138826976 Category:

Buy on Amazon

Description

『인간의 학습법 – 허무를 이겨 내는 메타 학습』 소개

 

인간에겐 고유한 사고 체계가 존재한다. 그러나 인간의 생각법을 모르는 이 시대 교육은 개개인의 적성과 진로만 앞세우며 기술지상주의의 조력자만 키우기 바쁘다. 저자는 현실의 교육이 어떻게 인간의 생각 회로를 망치고 쾌락과 허무의 양극성 장애를 만드는지 규명한다. 또한, 생각이 제대로 성장할 수 있는 구체적인 학습법을 설명한다.

 

인간의 학습법 - 허무를 이겨 내는 메타 학습

 

슬기로운 인생을 위한 단 하나의 해법
나와 내 아이에게 줄 수 있는 진정한 학습 지침서

인간에겐 고유한 사고 체계가 존재한다. 그러나 인간의 생각법을 모르는 이 시대 교육은 개개인의 적성과 진로만 앞세우며 기술지상주의의 조력자만 키우기 바쁘다. 저자는 현실의 교육이 어떻게 인간의 생각 회로를 망치고 쾌락과 허무의 양극성 장애를 만드는지 규명한다. 또한, 생각이 제대로 성장할 수 있는 구체적인 학습법을 설명한다. 『호모 데우스』의 기술지상주의적 관점을 반면교사 삼아 존재와 학습의 관계를 조명하는 이 책을 통해 독자는 허무를 이기고 인생 항해를 위한 올바른 학습법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학습의 의미는 무엇이며 어떻게 학습해야 하는가?
의미 없는 문제 풀이가 아닌 스스로 문제를 찾아 나서는 『인간의 학습법』

우리는 오랜 기간 교육을 받는다. 초등학교부터 대학교까지 혹은 선행 학습을 통해 더 긴 세월 꾸준히 문제의 답을 찾는 교육을 받아 왔다. 현재의 교육을 통과하고 나면 모두가 문제를 찾기보다는 누군가가 내 주는 문제를 푸는 데에만 익숙하게 된다. 이에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인간에 대해 무지하면서도 그 가치는 과감하게 부정하는 기술지상주의적 세계관과 이를 기반으로 인간의 고유역량을 억압하는 이 시대의 반교육을 파헤치고자 했다.

책은 총 2부로 구성되었다. ‘Ⅰ. 잃어버린 메타역량’, ‘Ⅱ. 메타역량을 위한 진짜 학습’이다. 1부에서는 인간의 고유역량과 우리 교육의 현주소, 교육에 대한 여러 환상 등 저자가 제시하는 학습법의 개념을 설명하고 현실 교육의 문제를 조명함으로써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2부에서는 메타 학습의 출발점, 메타 학습의 실현 등 실천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문제를 내고 정답을 강요하는 잘못된 교육으로 인해 인간 고유의 역량을 잃고 허무와 무기력에 빠진 이들에게 삶의 의미를 전하고 생각하는 법을 안내하고자 했다.

선도적인 교육일수록 교육 현장에는 인간이 설 자리가 보이지 않는다. 인공지능을 키우려는 것인지 인간을 키우려는 것인지도 헷갈릴 정도이다.

 

우리의 새로운 교육과정에서는 신기술에 대한 불안 때문인지 디지털 소양이 인간의 기초 소양으로 등극했다. 신기술 발전에 발맞춰야 한다는 패스트 팔로워(fast follower)의 조급함만이 감지된다. 누가 가져온지도 모르는 문제를 앞에 두고 다시 그렇게 주어진 경쟁에 적응해 갈 뿐 흐름을 선도하거나 진짜 문제를 찾으려는 노력은 여전히 보이지 않는다. – ‘5. 교육은 없었다’ 중에서

 

저자는 인간의 고유역량(메타역량)을 변화의 흐름에서 올바른 방향을 인식하려는 초월적 각성이라고 말했다. 메타역량을 잃은 시대에서는 가치 기준 없이 욕망이 삶의 주인이 되어 무의미한 경쟁에 매몰되거나 허무에 빠지기 쉽다. 인간 고유의 사고 체계를 강화하는 인간의 학습법을 통해 쾌락과 허무를 넘어서 삶의 진정한 주인이 되어 보자.

 

모두가 매달리고 있는 이 문제가 과연 얼마나 시급하고 중요한 것인가는 그 의자를 가져온 사람의 메타역량 수준에 달렸다. P. 17

 


목차

 

프롤로그

Ⅰ. 잃어버린 메타역량

1. 인간의 가치, 메타역량

존재 이유와 학습의 관계
인간, 문제를 찾는 존재
메타역량의 위기
메타역량 vs 메타인지, 사이비의 위험성
학습의 원리, 메타 사이클
메타역량을 발휘하라
역사 이야기로 시작하는 진짜 공부
교육이 아니라 학습이다

2. 우리 교육의 현주소 및 대안

메타역량을 무시한 추앙 교육
세계화와 세계 시민 교육
디지털 소양이 인간의 기초 소양?
순서가 뒤바뀐 교육
우리의 옛 교육은 알고 있다

3. 해외 논술 교육에 대한 환상

선다형과 논술형의 차이는 없다
절대평가에 대한 환상
암기의 중요성

4. 산업자본이 앞장서는 실험적 교육

글로벌 교육사업과 인공지능 발전
특이점 경쟁과 교육
그들의 실험적 교육은 과연 다를까?

(1) 에듀테크
(2) 팀 협업
(3) 자기 주도의 문제 해결력

인공지능과 빅데이터의 허상
인공지능과 상생하기

5. 교육은 없었다기득권의 조력자

교육도 소비자가 먼저 깨어나야 한다
생각나무 죽이는 천적
반교육이 될 수밖에 없는 이유

(1) 인간에 대해 무지하다
(2) 양질의 학습 콘텐츠가 없다
(3) 과제가 너무 많다
(4) 문제를 낸다

6. 발명과 메타역량

현존하는 유일한 메타 학습
발명 과정의 특징 제대로 알기
얕은 지식 현상 vs 창의성

Ⅱ. 메타역량을 위한 진짜 학습

1. 메타 학습의 출발점

뜻을 세우는 일
문제를 찾기 위해 메타 사이클로 향하라
지식을 대하는 올바른 자세
문과 이과의 구분을 없애야 하는 이유
메타 학습의 인재상

2. 메타 학습의 실현

유기적 지식
글쓰기가 이끄는 학습
유기적 글쓰기
글 얼개가 관건이다
유기적 글쓰기를 위한 글 얼개, ‘CORE’
발명과 논술을 하나로, 메타 학습의 완성

3. 메타 학습을 위한 변화

교육권의 분립
대학 입시 경쟁의 완화와 평생 교육
정성평가 기관이 필요하다
교육개혁과 지식 일자리

에필로그

Additional information

Language

ISBN

Author

Publisher

Publication Date

2024-01-23

Format

Pages

240

Reviews

There are no reviews yet.

Be the first to review “인간의 학습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