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

  • 순자 2

    순자 2

    “전국(戰國)사상을 종합적으로 정리한 ‘동양철학의 아리스토텔레스’, 순자” ‘성악설’로 잘 알려진 조(趙)나라 사람 순황(荀況,)의 사상과 학설을 담은 저술서이다. 순자는 공맹사상(孔孟思想)을 가다듬고 체계화했으며, 이해하기 쉽고 응집력 있는 유학사상의 방향을 제시했다. 또한 유가 철학자 가운데 최초로 스승의 말.대화를 기록한 제자들의 글뿐만 아니라, 직접 쓴 체계적인 논문을 통해 자신의 사상을 표현했다. 전체 32장인 는 대부분 그 자신이 쓴 것으로 전해지는데,…

  • 순자 1

    순자 1

    “전국(戰國)사상을 종합적으로 정리한 ‘동양철학의 아리스토텔레스’, 순자” ‘성악설’로 잘 알려진 조(趙)나라 사람 순황(荀況,)의 사상과 학설을 담은 저술서이다. 순자는 공맹사상(孔孟思想)을 가다듬고 체계화했으며, 이해하기 쉽고 응집력 있는 유학사상의 방향을 제시했다. 또한 유가 철학자 가운데 최초로 스승의 말.대화를 기록한 제자들의 글뿐만 아니라, 직접 쓴 체계적인 논문을 통해 자신의 사상을 표현했다. 전체 32장인 는 대부분 그 자신이 쓴 것으로 전해지는데,…

  • 남명집

    남명집

    남명 조식(南冥 曺植, 1501~1572)의 탄생 500주년을 맞이하여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에서 펴낸 완역본. 10여 종의의 판본 가운데서 가장 완선(完善)된 판본을 선택해 번역했던 1995년 판본을 다시 검토해 일반인들도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새롭게 번역했다.

  • 비평의 해부

    비평의 해부

    영어권 최고의 문학이론가 가운데 한 사람으로 평가받는 비평가 노스럽 프라이가 문예비평의 범위·이론·원리, 그리고 기법 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 책. 우리가 자연에 대해 알기 위해 물리학을 배워야 하는 것처럼 문학에 대해 알기 위해서는 ‘비평’을 배워야 한다고 말하는 저자는 이 책에서 비평을 과학적 연구의 대상으로 객관화시킨다. 즉 문학비평이 ‘좋다 싫다’ 혹은 ‘옳다 그르다’의 가치판단 차원이 아닌, 문학에서…

  • 소피스테스

    소피스테스

    는 플라톤의 철학적 방법론의 전개과정을 논술한 고전으로 서양철학 개념의 원형을 담고 있다. 플라톤의 스승 소크라테스와 엘레아에서 온 손님간의 대화를 통해 소피스테스(소피스트)의 역할과 그들이 구사했던 변증법에 대해 살펴본다. 이 번역본은 기존의 중역본과는 달리 고대 그리스어(헬라스어)로 된 플라톤 원전을 직접 옮겼다.

  • 종교적 경험의 다양성

    종교적 경험의 다양성

    독일, 프랑스, 영국 등 유럽의 지적 전통에 열등감을 가지고 있던 미국에서 종교학에 대한 연구를 통해 독자적 학문전통의 수립이 가능하다는 점을 증명해 화제가 됐던 책이다. 이 책은 저자가 영국 에든버러 대학교로부터 종교연구에 관한 기포드 강연(Gifford lectures) 초청을 받아 1901년부터 1902년까지 20개의 다양한 주제로 강연한 내용을 묶은 것이다. “인간이 성스러운 것은 무엇이라고 부르든 그것과 관련지어 자기자신을 이해하려고…

  • 슬픈 열대

    슬픈 열대

    현대 인류학에 지대한 영향을 남긴 프랑스 레비 스트로스의 일종의 자서전이라고 할 수 있는 저작으로서, 철학으로부터 인류학으로 이행한 저자의 지적 여정이 기술되고 있다. 브라질 인디언들의 풍속연구를 직접적 제재로 다루면서, 인간과 사회에 대한 포괄적인 성찰을 담고 있는 동시에 현대 문명의 제반 문제를 의미 깊게 시사하고 있다.

  • 관념의 모험

    관념의 모험

    화이트헤드의 지적 모험이 담겨있는 이 책은 관념(idea)이 인간성을 향상시켜왔다는 관점에서 인류문명의 역사를 해석한다. 문명론, 사회.역사 철학뿐만이 아니라 과학론, 미학, 형이상학이 유기적으로 통합되어 있는 화이트헤드의 사상이 담겨있다.

  • 가자! 고전의 숲으로

    가자! 고전의 숲으로

    한길그레이트북스 120권 길라잡이

  • 이토록 뜻밖의 뇌과학

    이토록 뜻밖의 뇌과학

    뇌가 당신에 관해 말할 수 있는 7과 1/2가지 진실

  • 도파민네이션

    도파민네이션

    쾌락 과잉 시대에서 균형 찾기

  • 기억의 뇌과학

    기억의 뇌과학

    인간의 기억은 어떻게 만들어지고 사라지는가

  • 데일리 필로소피

    데일리 필로소피

    아침을 바꾸는 철학자의 질문

  • 김경일의 지혜로운 인간생활

    김경일의 지혜로운 인간생활

    님을 위한 행복한 인간관계 지침서

  •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2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2

    현실 편 : 철학 / 과학 / 예술 / 종교 / 신비

  • 빅 히스토리

    빅 히스토리

    우주와 지구, 인간을 하나로 잇는 새로운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