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평론

    비평론 (1)

  • 세계문학론

    세계문학론 (4)

  • 소설론

    소설론 (2)

  • 작가론

    작가론 (6)

  • 창작.문장작법

    창작.문장작법 (3)

  • 한국문학론

    한국문학론 (5)

  • 한글이야기

    한글이야기 (2)

  • 글쓰기의 공중부양

    글쓰기의 공중부양

    이외수가 처음으로 공개하는 실전적 문장비법

    글쓰기의 공중부양:이외수가 처음으로 공개하는 실전적 문장비법, 해냄출판사, 이외수

  • 에세이즘

    에세이즘

    에세이라는 형식을 깊고 다채롭게 탐구하는 책. 조이스 캐럴 오츠, 올리비아 랭, 존 밴빌 등이 칭송한 작가 브라이언 딜런의 대표작으로, 위대한 에세이스트들의 작품을 하나하나 추적하며 그 다양한 곁을 들여다보고 글에 깃든 여러 속성을 재탐색한다. 딜런은 에세이즘의 본질이 단순히 에세이를 실현하는 행위가 아니라 에세이의 모험성, 불완전성, 미완성성 등에 대한 태도에 있다고 본다. 그에게 에세이란 위험과 안정이라는 두…

  • 무라카미 하루키 1Q84 어떻게 읽을 것인가

    무라카미 하루키 1Q84 어떻게 읽을 것인가

    대표 논객 35인이 파헤친 Q의 정체

  • 표준국어 대사전 편찬지침 2

    표준국어 대사전 편찬지침 2

    머리말 Ⅰ. 어휘 부류 정보 1. 품사 정보 1 2. 북한어, 방언, 옛말 표시 2 3. 전문어 영역 2 Ⅱ. 문형 정보 1. 문형 정보의 개념과 형식 4 2. 문형 정보와 필수적 성분 17 3. 기타 32 Ⅲ. 문법 정보 Ⅳ. 뜻풀이 1. 일반 원칙 37 1-1. 기본 원칙 37 1-2. 전문어 뜻풀이 38 1-3….

  • 표준국어 대사전 편찬지침 1

    표준국어 대사전 편찬지침 1

    머리말 Ⅰ. 표제어 1. 선정 1 1-1. 일반 원칙 1 2. 표기 1 2-1. 일반 원칙 1 2-2. 외래어의 표기 2 2-3. ‘-’ 3 2-4. ‘^’ 6 2-5. ‘·’ 7 3. 배열 7 3-1. 일반 원칙 8 3-2. 동음이의어와 다의어 8 4. 단위별 등재 원칙 21 4-1. 표준어 21 4-2. 북한어 30 4-3. 방언 31…

  • 낭만적 거짓과 소설적 진실

    낭만적 거짓과 소설적 진실

    문학 텍스트를 통해 현대산업사회에서 나타나는 인간의 욕망 구조를 명쾌하게 분석한 책. 흔히 문학사회학, 소설사회학이라고 통칭되는 문학비평계에서는 루카치의 <소설의 이론>, 골드만의 <소설사회학을 위하여>와 함께 필독서로 꼽히는 논저이다. 르네 지라르의 문학이론은 한마디로 ‘삼각형의 이론’이라 할 수 있다. 르네 지라르는 세르반테스의 <돈키호테>, 스탕달의 <적과 흑>, 플로베르의 <보바리 부인>,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도스토예프스키의 <죄와 벌> 등을 토대로 이…

  • 비평의 해부

    비평의 해부

    영어권 최고의 문학이론가 가운데 한 사람으로 평가받는 비평가 노스럽 프라이가 문예비평의 범위·이론·원리, 그리고 기법 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 책. 우리가 자연에 대해 알기 위해 물리학을 배워야 하는 것처럼 문학에 대해 알기 위해서는 ‘비평’을 배워야 한다고 말하는 저자는 이 책에서 비평을 과학적 연구의 대상으로 객관화시킨다. 즉 문학비평이 ‘좋다 싫다’ 혹은 ‘옳다 그르다’의 가치판단 차원이 아닌, 문학에서…

  • 한국의 고전을 읽는다 5

    한국의 고전을 읽는다 5

    문화·사상

  • 한국의 고전을 읽는다 4

    한국의 고전을 읽는다 4

    역사·정치

  • 한국의 고전을 읽는다 2

    한국의 고전을 읽는다 2

    고전문학中 옛소설·옛노래

  • 한국의 고전을 읽는다 1

    한국의 고전을 읽는다 1

    고전문학上 신화·민담·여행기

  • 불가능한 대화들

    불가능한 대화들

    젊은 작가 12인과 문학을 논하다

    불가능한 대화들:젊은 작가 12인과 문학을 논하다, 산지니, 염승숙 등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