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씨알의 소리

    씨알의 소리

    함석헌선집’은 동서고금의 사상을 넘나들며 사람의 도리와 생명의 본질을 설파한 함석헌 선생의 글 중 대표적인 글 94편과 시 11편을 모았다. 함석헌학회와 한길사가 선생 탄생 115주년, 한길사 창립 40주년을 맞아 공동으로 기획했다. 선생의 사상이 농축된 글들을 선정해 분야별로 정리했으므로 통독하면 함석헌사상의 전모를 파악할 수 있다. 제1권 는 기독교와 동양종교 그리고 역사에 대한 글을 모았다. 기독교 정신의 참뜻은…

  • 데카르트적 성찰

    데카르트적 성찰

    한길그레이트북스 147권. 은 선험적 현상학의 창시자 후설(Edmund Husserl)이 자신이 주창한 현상학이 무엇인지 직접 밝힌 책이다. 당시 프랑스 철학계는 셸러와 하이데거를 통해 간접적으로 후설 현상학을 받아들였기 때문에 ‘반쪽짜리 현상학’이 전파될 수밖에 없었다. 이에 후설이 직접 프랑스로 건너가 현상학을 강연하고 프랑스어로 된 ‘강연 요약문’을 나눠주었다. 이후 몇몇 제자의 도움을 받아 요약본을 다듬어 로 출간한다. 따라서 은 과연…

  • 명등도고록

    명등도고록

    한길그레이트북스 146권. 은 동양의 니체라 불리는 탁오 이지의 말년작이다. 동시대 지식인들과 대화하며 과 을 해설해나가는 형식이다. ‘발분저서’의 심경을 담아 당시 사회상을 통렬히 비판한 그의 또 다른 책 처럼 도 유가 사상에 대해 날을 세운다. 하지만 유가 사상 자체를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유가적 가치의 깊이를 더함으로써 시공간을 초월한 보편성을 획득했다. 즉 경세가로서 세상을 올바로 ‘경영’하는…

  • 교양과 무질서

    교양과 무질서

    개정판. 19세기 유럽의 혼란상을 ‘무질서’로 바라보고 해결책으로 ‘교양’을 제시한 책이다. 기본적으로 정치비평서이지만 근대적 개념의 교양(또는 문화)을 제시함으로써 문화연구로 이어지는 영국 문화비평의 기틀을 닦았다. 19세기 유럽은 많은 사상과 이념이 충돌하고 산업혁명으로 삶의 질적 변화가 급진적으로 이뤄지는 등 일대 변혁을 맞고 있었다. 필연적으로 사회적 모순이 분출하고 개혁 요구가 거세게 일었는데 저자 매슈 아널드가 살던 영국의 상황이 특히…

  • 기독교와 자본주의의 발흥

    기독교와 자본주의의 발흥

    자본주의 시대의 가장 큰 문제점 가운데 하나인 불평등의 문제.공동체 붕괴의 문제를 다룬다. 특히 기독교와 자본주의의 관계를 분석하고 그 해결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저자 리처드 토니에게 좋은 사회를 판가름하는 기준은 평등인데, 그는 평등을 숫자로 따져서는 알 수 없는 관계의 문제로 본다. 그런데 자본주의 사회는 사적인 사회다. 사적 이익이 공동의 이해를 대체해 소유와 권력이 그 자체로 목적이 된…

  • 키루스의 교육

    키루스의 교육

    개정판

  • 중용

    중용

  • 대학

    대학

  • 윌리엄 모리스 1

    윌리엄 모리스 1

    낭만주의자에서 혁명가로

  • 공화국의 위기

    공화국의 위기

    정치에서의 거짓말.시민불복종.폭력론

  • 법과 권리

    법과 권리

    한길그레이트북스 108권. 의 저자이자 저명한 법철학자이자 정치철학자인 로널드 드워킨의 대표작. 이 책에서 제시된 법실증주의에 대한 비판은 수십 년간 학자들 사이에 관심대상이었던 이른바 하트-드워킨 논쟁의 시발점을 이룬다. 그렇기 때문에 이 책은 현대 법철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읽어야 한다. 저자는 법과 도덕을 구별하고자 하는 주류 법철학인 법실증주의를 비판하고 법을 정확하게 정하기 위해서는 도덕철학에 대한 이해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 수사고신여록

    수사고신여록

    수수와 사수라는 강 언저리에 학당을 열었던 공자의 사적에 대한 사람들의 믿음을 비교, 검토한 기록이다. 기준은 당연히 역사적 사실이며, 대상은 사람들 사이에 떠도는 믿음의 말들이다. 저자는 신화를 배제하고 납득할 만한 상식에 따라 인간 공자를 밝히려 했다. 성인 공자의 신화를 벗기고, 인간 공자에 대한 합리적 이해를 도우려는 책. 현대어로 씌어진 인간 공자에 관한 엄정한 논증을 읽다보면 인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