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셜 시대 입소문 전자상거래 전략 PRE-Commerce

    소셜 시대 입소문 전자상거래 전략 PRE-Commerce

    소셜 비즈니스 시대의 CEO와 경영진들이 꼭 알아야 할 기업 바이럴 마케팅과 전자상거래 PRE-Commerce 전략이 담긴 책. 소셜 미디어 채널 이용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고객들의 구매 결정과 교육 방법, 그리고 특정 브랜드를 선택하는 이유가 어떻게 근본적으로 달라지고 있는지를 설명해준다. 또한 기업들이 고객, 직원, 그리고 경쟁자들과 상호작용하고, 뭔가를 배우는 방식을 재창조해야 한다는 점도 보여준다. 저자인 밥 피어슨은 델의…

  • 구글 플러스를 활용한 소셜 비즈니스 마케팅

    구글 플러스를 활용한 소셜 비즈니스 마케팅

    Google + for Business

  • 고객의 80%는 비싸도 구매한다

    고객의 80%는 비싸도 구매한다

    고객수가 늘지 않아도 돈을 벌 수 있는 ‘고액고객유치 마케팅’을 설명한다. 총 7장에 걸쳐, 가격 인상을 해도 고객이 찾아오도록 하는 마케팅 전략을 수록하였다. 왜 고객수 늘리기보다 객단가 올리기가 더 중요한지 알아보고, 고액고객 유치를 위한 상품 연출법, 제공 방법, 기대감을 높이는 법 등을 알려준다.

  • 슈독 : 나이키 창업자 필 나이트 자서전

    슈독 : 나이키 창업자 필 나이트 자서전

    슈독, 사회평론, 필 나이트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원서: 『Shoe Dog: A Memoir by the Creator of Nike

  • 있는 공간, 없는 공간

    있는 공간, 없는 공간

    바야흐로 ‘핫플’의 시대다. 휴일이면 사람들은 ‘요즘 뜨는 곳’을 찾아 몰려든다. 몇 시간씩 기다리는 수고도 마다하지 않는다. ‘사람들이 많이 간다’는 사실은 다시 입소문이 되어 더 많은 사람들을 불러 모은다. 핫플이 되면 성공하고, 핫플이 되지 못하면 사라진다. 온라인 쇼핑이 유통시장을 점령하고 매일같이 유행이 달라지는 상황에 ‘가성비 좋고 적당한 가게’는 더 이상 살아남지 못한다. 그렇다면 어떻게 ‘핫플’이 될…

  • 원칙 Principles

    원칙

    출간 직후 전 세계적인 베스트셀러가 된 레이 달리오의 《원칙》이 올 6월 한국에서도 출간된다. 이 시대 가장 위대한 투자자이자 기업가인 레이 달리오가 특히 유명한 것은 자신이 세운 원칙을 기반으로 자신의 인생을 살고, 회사를 경영하며, 경제를 예측하고 투자하기 때문이다. 레이 달리오는 ‘이코노미스트’라고 불릴 만큼 경제 흐름에 정통하여 해외에서 각종 경제 이슈가 생길 때마다 각종 언론이 코멘트를 부탁하기로…

  • 아이디어 불패의 법칙

    아이디어 불패의 법칙

    구글 최고의 혁신 전문가가 찾아낸 비즈니스 설계와 검증의 방법론

  • 진짜 챗GPT 활용법

    진짜 챗GPT 활용법

    엑셀 활용법부터 블로그 자동화, 유튜브 콘텐츠 생성, 미드저니와 ChatGPT API 사용법까지

  • 사장학개론

    사장학개론

    한국과 미국, 전 세계를 오가며 ‘사장을 가르치는 사장’으로 알려진 『돈의 속성』의 저자 김승호 회장의 신간이다. 평생 사장으로 살아온 그의 경영철학 모두를 10여 년에 걸쳐 정리해 온 그는, 이번 『사장학개론』 책을 통해 120가지 주제로 그 내용을 모두 담아 완성했다. 지난 7년간 3천 명의 사장 제자들을 만나 <사장학 수업>을 진행하며 현실에서 겪는 다양한 문제에 대해, 사장들이 묻는…

  • 챗GPT 기회를 잡는 사람들

    챗GPT 기회를 잡는 사람들

    포스텍 AI전공 박사의 미래전망

  • 보이지 않는 힘, 퍼블릭 어페어즈

    보이지 않는 힘, 퍼블릭 어페어즈

    어떻게 소통하며 사회의 동의를 얻을 것인가

  • 한국의 미래, 과학기술혁신체제에서 길을 찾다

    한국의 미래, 과학기술혁신체제에서 길을 찾다

    SERI 연구에세이 111권. 이 책은 ‘혁신과 신뢰’라는 키워드를 바탕으로 한국의 미래를 담보해줄 과학기술혁신체제의 성공요인과 핵심전략을 제안한다. 한국경제는 지금 패러다임 전환의 기로에 서 있다. 선진국의 경험을 모방하거나 재빨리 추격하는 전략으로 산업화에 성공한 대한민국의 성장모델은 이제 수명을 다했으며, 그 자리를 신흥개도국에 내줄 수밖에 없는 처지이다. 더욱이 경제위기가 상시화되고 저성장 구조와 맞물린 일자리 부족이 가속화되고 있는 현실에서 이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