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진, 왕의 초상화

    어진, 왕의 초상화

    저자가 그동안 미흡했던 우리나라 어진 연구를 집성하고자 기획한 책으로, 총 168컷의 사진이 실려 있다. 각 사진의 세부까지 포함한다면 200컷이 넘는다. 남아 있는 어진은 물론 복원 후의 모습과 모사를 위한 디지털 합성 과정, 얼굴·손·귀 등 각 부분 복원에 참고가 될 관련 비교 이미지 등 어진 관련한 이미지가 총망라되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를 통해 어진을 하나의…

  • 조선후기 중앙 군영과 한양의 문화

    조선후기 중앙 군영과 한양의 문화

    장서각 한국사 강의 9권.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는 훈련도감, 어영청, 금위영, 호위청, 장용영 등에서 기록한 각종 군영 자료가 소장되어 있다. 이들 자료 중 훈련도감에서 접수한 문서인 은 훈련도감 운영과 관련한 국왕의 전교, 다른 관서에서 보내온 문서를 베껴 정리한 것으로, 군사 자료로서의 가치뿐만 아니라 당대 정치, 경제, 사회 등 다양한 분야를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 담겨 있다. 이…

  • 숙종시대의 군사체제와 훈련도감

    숙종시대의 군사체제와 훈련도감

    장서각 한국사 강의 8권. 조선시대의 왕권은 신권에 비해 약했다는 것이 통설이지만, 실제 조선후기 정치는 당파가 아닌 국왕 중심으로 이루어졌음이 여러 자료를 통해 확인되었고, 군통수권자인 왕의 권한은 막강하였다. 또한 조선후기 양반들은 온갖 사회적 특권을 누리면서도 군역은 철저하게 외면했는데 이는 실학자들도 예외가 아니었다. 이는 어떠한 논리와 명분보다는 시대적.계급적 한계를 뛰어넘지 못하는 당시 사회의 실체를 반영한 것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