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혁명론

    혁명론

    20세기의 가장 주목 받는 정치 사상가 중 한 명인 한나 아렌트의 1963년 작 의 한국어 번역판이다. 이 책은 전체주의를 ‘반(反)정치’로 규정하며, 인간의 삶에서 개개 인간의 자유가 실현되는 정치 공동체의 실현을 중요한 요건으로 보는 아렌트의 전작에서 논의를 좁혀 주변적 정치 현상인 폭력을 논의의 주제로 삼았다. 에서는 정치적 삶이 처참한 저주가 될 수도, 커다란 축복이 될 수도…

  • 낭만적 거짓과 소설적 진실

    낭만적 거짓과 소설적 진실

    문학 텍스트를 통해 현대산업사회에서 나타나는 인간의 욕망 구조를 명쾌하게 분석한 책. 흔히 문학사회학, 소설사회학이라고 통칭되는 문학비평계에서는 루카치의 <소설의 이론>, 골드만의 <소설사회학을 위하여>와 함께 필독서로 꼽히는 논저이다. 르네 지라르의 문학이론은 한마디로 ‘삼각형의 이론’이라 할 수 있다. 르네 지라르는 세르반테스의 <돈키호테>, 스탕달의 <적과 흑>, 플로베르의 <보바리 부인>,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도스토예프스키의 <죄와 벌> 등을 토대로 이…

  • 남명집

    남명집

    남명 조식(南冥 曺植, 1501~1572)의 탄생 500주년을 맞이하여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에서 펴낸 완역본. 10여 종의의 판본 가운데서 가장 완선(完善)된 판본을 선택해 번역했던 1995년 판본을 다시 검토해 일반인들도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새롭게 번역했다.

  • 비평의 해부

    비평의 해부

    영어권 최고의 문학이론가 가운데 한 사람으로 평가받는 비평가 노스럽 프라이가 문예비평의 범위·이론·원리, 그리고 기법 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 책. 우리가 자연에 대해 알기 위해 물리학을 배워야 하는 것처럼 문학에 대해 알기 위해서는 ‘비평’을 배워야 한다고 말하는 저자는 이 책에서 비평을 과학적 연구의 대상으로 객관화시킨다. 즉 문학비평이 ‘좋다 싫다’ 혹은 ‘옳다 그르다’의 가치판단 차원이 아닌, 문학에서…

  • 소피스테스

    소피스테스

    는 플라톤의 철학적 방법론의 전개과정을 논술한 고전으로 서양철학 개념의 원형을 담고 있다. 플라톤의 스승 소크라테스와 엘레아에서 온 손님간의 대화를 통해 소피스테스(소피스트)의 역할과 그들이 구사했던 변증법에 대해 살펴본다. 이 번역본은 기존의 중역본과는 달리 고대 그리스어(헬라스어)로 된 플라톤 원전을 직접 옮겼다.

  • 종교적 경험의 다양성

    종교적 경험의 다양성

    독일, 프랑스, 영국 등 유럽의 지적 전통에 열등감을 가지고 있던 미국에서 종교학에 대한 연구를 통해 독자적 학문전통의 수립이 가능하다는 점을 증명해 화제가 됐던 책이다. 이 책은 저자가 영국 에든버러 대학교로부터 종교연구에 관한 기포드 강연(Gifford lectures) 초청을 받아 1901년부터 1902년까지 20개의 다양한 주제로 강연한 내용을 묶은 것이다. “인간이 성스러운 것은 무엇이라고 부르든 그것과 관련지어 자기자신을 이해하려고…

  • 슬픈 열대

    슬픈 열대

    현대 인류학에 지대한 영향을 남긴 프랑스 레비 스트로스의 일종의 자서전이라고 할 수 있는 저작으로서, 철학으로부터 인류학으로 이행한 저자의 지적 여정이 기술되고 있다. 브라질 인디언들의 풍속연구를 직접적 제재로 다루면서, 인간과 사회에 대한 포괄적인 성찰을 담고 있는 동시에 현대 문명의 제반 문제를 의미 깊게 시사하고 있다.

  • 원본 삼국사기

    원본 삼국사기

  • 미국의 민주주의 2

    미국의 민주주의 2

  • 미국의 민주주의 1

    미국의 민주주의 1

  • 제국의 시대

    제국의 시대

    세계 자본주의의 형성과 발전이 이루어졌던 19세기를 집중 조명한 연구서. 혁명 100주년, 경제가 속도를 바꾸다, 민주주의의 정치, 누가 누구인가 ? 부르주아의 불확실성, 혁명을 향하여, 평화에서 전쟁으로 등 13개장으로 설명했다.

  • 자본의 시대

    자본의 시대

    19세기 중반 약 30년간의 유럽역사를 다룬 책. 이 시 기는 유럽의 부르지아가 자유주의적 자본주의 경제를 만개시키면서 유럽과 세계를 정복한 격동의 시대. 혁 명의 서막, 전개과정, 결론 -토지/인간의 이동/예술/ 부르즈아의 세계 등을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