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워드 막스 투자와 마켓 사이클의 법칙
주식시장의 흐름을 꿰뚫어보는 단 하나의 투자 바이블
Showing 273–288 of 552 resultsSorted by latest





기업의 퀄리티를 판별하는 6가지 블루집 선정기준을 활용해 투자대상 기업들을 선별하고, 과거 주가의 상단과 하단을 배당수익률 기준으로 그 흐름을 추적하여 배당수익률이 높고 주가가 낮아 저평가됐을 때 매수하고, 배당수익률이 낮고 주가가 높아 고평가됐을 때 차익 실현하는 아주 쉽고 간단한 투자전략을 제시한다.




SERI 연구에세이 111권. 이 책은 ‘혁신과 신뢰’라는 키워드를 바탕으로 한국의 미래를 담보해줄 과학기술혁신체제의 성공요인과 핵심전략을 제안한다. 한국경제는 지금 패러다임 전환의 기로에 서 있다. 선진국의 경험을 모방하거나 재빨리 추격하는 전략으로 산업화에 성공한 대한민국의 성장모델은 이제 수명을 다했으며, 그 자리를 신흥개도국에 내줄 수밖에 없는 처지이다. 더욱이 경제위기가 상시화되고 저성장 구조와 맞물린 일자리 부족이 가속화되고 있는 현실에서 이를…

20년 가까이 주택과 도시 등 부동산 관련 정책을 다뤄온 저자가 2012년 미국 연방정부 내 주택도시부(HUD)에 파견되어, 극심한 변화의 시기에 미국의 주택정책이 수립.시행되는 현장을 경험하면서 쓴 미국 주택시장 안내서. 미국인에게 주택이란 어떤 존재인지를 밝히는 것에서 출발해, 1930년대 이후 시대별 미국 주택정택의 이슈는 무엇인지, 또 미국 주택정책의 최종 목표는 무엇인지를 소개한다. 아울러 미국 주택시장을 둘러싼 각종 제도는…




광고 본연의 의미에서 출발해 광고의 필요성과 수익모델적인 측면을 도출해내고, 그 속에서 디지털 시대의 광고의 의미와 미래 사회에서도 통하는 광고 전략을 모색하고 있는 책. 지은이는 디지털 시대에는 창의성뿐만 아니라 광고와 디지털 콘텐츠 간의 관련성이 주요 광고 전략이 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오늘날 중국과 인도는 친디아라는 이름으로 세계 경제에 강력한 도전장을 내밀고 있다. 친디아의 시대에 한국 경제가 생존하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중국과 인도의 실상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두 나라를 결코 동일 선상에 놓고 보아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책은 중국과 인도의 최근 10년간의 경제 성과를 분석하고 두 나라의 경제 격차를 살펴본 뒤 그러한 격차가 생길 수밖에…

디지털 융합(digital convergence)’ 현상이 가져다준 새로운 통신시장 환경에서의 경쟁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에 적합한 규제정책의 틀을 재정비해야 한다는 생각에서 출발했다. 필자들은 방송/통신 시장의 융합이 진전되면서 아울러 정보통신 산업의 가치사슬이 크게 확대되었다는 데 주목하여, 새로운 환경에서 공정경쟁을 확보하기 위한 규제의 틀과 제반 정책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