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경제일반

  • 미시경제학

    미시경제학

    제7판

  • 장하준의 경제학 레시피

    장하준의 경제학 레시피

    마늘에서 초콜릿까지 18가지 재료로 요리한 경제 이야기

    [부키]장하준의 경제학 레시피 : 마늘에서 초콜릿까지 18가지 재료로 요리한 경제 이야기, 부키, 장하준

  • 생각에 관한 생각

    생각에 관한 생각

    우리의 행동을 지배하는 생각의 반란!

  • 바로 써먹는 최강의 반도체 투자

    바로 써먹는 최강의 반도체 투자

    한발 앞서 읽는 반도체 슈퍼사이클의 모든 것

  • 기후위기 부의 대전환

    기후위기 부의 대전환

    기후변화 10년 후 한국의 미래와 생존전략

  • 초거대 위협

    초거대 위협

    앞으로 모든 것을 뒤바꿀 10가지 위기

  • 하워드 막스 투자와 마켓 사이클의 법칙

    하워드 막스 투자와 마켓 사이클의 법칙

    주식시장의 흐름을 꿰뚫어보는 단 하나의 투자 바이블

  • 돈 버는 선택 돈 버리는 선택

    돈 버는 선택 돈 버리는 선택

    살면서 부딪히는 44가지 딜레마

  • 한국의 미래, 과학기술혁신체제에서 길을 찾다

    한국의 미래, 과학기술혁신체제에서 길을 찾다

    SERI 연구에세이 111권. 이 책은 ‘혁신과 신뢰’라는 키워드를 바탕으로 한국의 미래를 담보해줄 과학기술혁신체제의 성공요인과 핵심전략을 제안한다. 한국경제는 지금 패러다임 전환의 기로에 서 있다. 선진국의 경험을 모방하거나 재빨리 추격하는 전략으로 산업화에 성공한 대한민국의 성장모델은 이제 수명을 다했으며, 그 자리를 신흥개도국에 내줄 수밖에 없는 처지이다. 더욱이 경제위기가 상시화되고 저성장 구조와 맞물린 일자리 부족이 가속화되고 있는 현실에서 이를…

  • 쉽게 읽는 미국 주택정책

    쉽게 읽는 미국 주택정책

    20년 가까이 주택과 도시 등 부동산 관련 정책을 다뤄온 저자가 2012년 미국 연방정부 내 주택도시부(HUD)에 파견되어, 극심한 변화의 시기에 미국의 주택정책이 수립.시행되는 현장을 경험하면서 쓴 미국 주택시장 안내서. 미국인에게 주택이란 어떤 존재인지를 밝히는 것에서 출발해, 1930년대 이후 시대별 미국 주택정택의 이슈는 무엇인지, 또 미국 주택정책의 최종 목표는 무엇인지를 소개한다. 아울러 미국 주택시장을 둘러싼 각종 제도는…

  • 하나의 동아시아

    하나의 동아시아

    동아시아 경제공동체, 통합과 공존의 모색

  • 과잉생산, 불황 그리고 거버넌스

    과잉생산, 불황 그리고 거버넌스

    거버넌스의 기원과 불황의 재해석

  • 중국과 인도, 그 같음과 다름

    중국과 인도, 그 같음과 다름

    오늘날 중국과 인도는 친디아라는 이름으로 세계 경제에 강력한 도전장을 내밀고 있다. 친디아의 시대에 한국 경제가 생존하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중국과 인도의 실상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두 나라를 결코 동일 선상에 놓고 보아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책은 중국과 인도의 최근 10년간의 경제 성과를 분석하고 두 나라의 경제 격차를 살펴본 뒤 그러한 격차가 생길 수밖에…

  • 디지털 융합, 새로운 게임의 법칙

    디지털 융합, 새로운 게임의 법칙

    디지털 융합(digital convergence)’ 현상이 가져다준 새로운 통신시장 환경에서의 경쟁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에 적합한 규제정책의 틀을 재정비해야 한다는 생각에서 출발했다. 필자들은 방송/통신 시장의 융합이 진전되면서 아울러 정보통신 산업의 가치사슬이 크게 확대되었다는 데 주목하여, 새로운 환경에서 공정경쟁을 확보하기 위한 규제의 틀과 제반 정책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 유럽 축구에 길을 묻다

    유럽 축구에 길을 묻다

    장원재의 한국 축구 산업화 제안

  • 4차 산업혁명, 일과 경영을 바꾸다

    4차 산업혁명, 일과 경영을 바꾸다

    4차 산업혁명은 결국 기술의 문제를 넘어 사람의 문제이다. 일자리가 변하고, 기업이 원하는 인재의 기준이 변하고, 조직구조가 변한다. 일하는 방식이 바뀌고, 조직문화가 바뀌고, 리더십이 바뀐다. 고용형태가 달라지고, 노사관계가 달라지고, 노동법이 달라진다. 4차 산업혁명의 도래에 따른 수많은 논의에도 불구하고 HR 부문의 대응 전략에 대한 검토는 미미한 상황에서 고용, 조직, 문화, 인력, 제도, 노사관계, 노동법 등 각 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