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어순화자료집 : 연극/영화용어

    국어순화자료집 : 연극/영화용어

    연극·영화계에서 사용되는 외래어와 외국어, 일본어투의 용어들을 쉬운 우리말로 바꾼 자료집이다. 챕터별로 나누어 연극용어와 영화용어의 원어, 뜻풀이, 우리말 순화용어로 바꾸어 쉽게 이해할수 있도록 수록되어있다. 연극용어 1.희극 문학 용어 3 2. 연극사 용어 15 3. 극작, 연출 및 연기 용어 37 4. 무대 장치용어 46 5. 무대 조명 용어 52 6. 극장 용어 57 영화용어 영어 제작…

  • 문장 부호 해설

    문장 부호 해설

    가로쓰기만을 대상으로 부호 24종의 용법을 94개 조항으로 나누어 현재의 다양한 쓰임새를 최대한 반영하였으며, ‘온점’과 ‘반점’으로 부르던 부호 ‘.’과 ‘,’에 대하여 각각 ‘마침표’와 ‘쉼표’라고 하고 기존에 부르던 이름도 쓸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줄임표’를 다양한 형태로 쓸 수 있게 하는 등 사용자 편의와 활용성을 높이는 데 역점을 두었다.

  • 표준 발음법 영향 평가

    표준 발음법 영향 평가

    I.서론 1.연구의 배경 1 2.연구내용 및 방법 3 3.연구개요 5 1)연구일반현황 5 2)연구내용개관 5 3)연구진 7 4.기대효과 8 Ⅱ.각국의 표준발음정책 1.각국의 표준발음정책조사개요 10 1)표준발음정책의 어제와 오늘 10 2)외국의 표준발음관련 정책, 제도, 법조사 10 3)외국의 표준발음 관련정책의 효과, 변화방향 등 조사 11 4)북한의 표준발음법과의 비교 11 2.우리의 표준발음, 어제 와 오늘 11 1)문교부 표준말 안(1979.12.) 12…

  • 단어별 어원 정보

    단어별 어원 정보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 통일 시대를 여는 생활 필수 어휘

    통일 시대를 여는 생활 필수 어휘

    낯선 남한 어휘 때문에 어려움을 겪는 북한이탈주민을 돕고자 간행된 책. 이 책은 생활 필수 어휘를 위주로 총 18단원으로 구성하였는데, 1단원에서 6단원까지는 ‘공공 생활’ 부분을, 7단원에서 12단원까지는 ‘문화 생활’ 부분을, 13단원에서 18단원까지는 ‘개인 생활’ 부분을 다루었다.

  • 방송언어 오용사례

    방송언어 오용사례

  • 국립국어원과 함께하는 쏙쏙! 국어 교실 1~3학년

    국립국어원과 함께하는 쏙쏙! 국어 교실 1~3학년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을 위한

  • 국립국어원과 함께하는 쏙쏙! 국어 교실 4~6학년

    국립국어원과 함께하는 쏙쏙! 국어 교실 4~6학년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을 위한

  • 수화로 하는 애국가 · 국기에 대한 맹세 · 한글날 노래

    수화로 하는 애국가 · 국기에 대한 맹세 · 한글날 노래

    국립 국어원.한국표준수화규범 제정 추진위원회의 책. ‘수화로 하는 애국가’, ‘수화로 하는 국기에 대한 맹세’, ‘수화로 하는 한글날 노래’로 구성되어 있다.

  • 한국수화 2 : 수화로 하는 집구하기

    한국수화 2 : 수화로 하는 집구하기

    1. 집구하기 1 2. 초대 28 3. 요리 49 4. 시장 73 5. 식당 98 6. 병원과 약국 118 7. 편지þ소포 133 8. 친구 148 9. 학교생활 163 10. 서점 179 1 1. 직장생활 195 12. 주말 211 13. 극장 226 14. 스포츠 242 15. 여행 257 16. 은행 272 17. 한글날 노래 287

  • 표준국어 대사전 편찬지침 2

    표준국어 대사전 편찬지침 2

    머리말 Ⅰ. 어휘 부류 정보 1. 품사 정보 1 2. 북한어, 방언, 옛말 표시 2 3. 전문어 영역 2 Ⅱ. 문형 정보 1. 문형 정보의 개념과 형식 4 2. 문형 정보와 필수적 성분 17 3. 기타 32 Ⅲ. 문법 정보 Ⅳ. 뜻풀이 1. 일반 원칙 37 1-1. 기본 원칙 37 1-2. 전문어 뜻풀이 38 1-3….

  • 표준국어 대사전 편찬지침 1

    표준국어 대사전 편찬지침 1

    머리말 Ⅰ. 표제어 1. 선정 1 1-1. 일반 원칙 1 2. 표기 1 2-1. 일반 원칙 1 2-2. 외래어의 표기 2 2-3. ‘-’ 3 2-4. ‘^’ 6 2-5. ‘·’ 7 3. 배열 7 3-1. 일반 원칙 8 3-2. 동음이의어와 다의어 8 4. 단위별 등재 원칙 21 4-1. 표준어 21 4-2. 북한어 30 4-3. 방언 31…